이번 강의는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에 초점을 맞춘 강의다. 최근에는 주로 REST API로 개발하기 때문에 이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편에서 구현해 둔 핵심 기능을 REST API로 구현해 보고, 스프링 부트와 JPA를 사용할 때의 API 개발 실무 노하우를 학습한다. 참고템플릿 엔진을 사용해 렌더링 하는 Controller와 API 스타일의 Controller를 둘 다 사용한다면 패키지를 분리하는 게 낫다.- 예외 처리 등을 공통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데, 화면의 경우 템플릿 엔진에서 문제가 생기면 공통 에러 화면(HTML)이 나오게 된다. 그러나 API의 경우는 공통 에러용 JSON API 스펙이 나가야 한다.- 따라서 공통 처리 같은 관점에서 조금씩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패키지를 분리..
API

UMC 6th 데모데이가 끝난 지도 한참 됐지만 많은 일들이 있었어서... 😅 이제서야 정리해보려고 한다. ERD 설계 (ERDCloud) & Entity 설계 (Spring Boot)PM님께서 작성하신 서비스 정책서, IA와 디자이너님의 WF을 바탕으로 ERDCloud에서 ERD를 설계했다. 1. 서비스 정책서기능 명세서라고도 부르며, 아래 사진처럼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개발을 진행할 때 필요한 정보들을 나열해 둔 것이다. 기능을 크게 분류해 두고 세부적인 기능들의 정의와 제약 조건, 기능들끼리의 연결(상호작용) 등의 정보를 작성해둬야 번거롭게 소통하지 않아도 개발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2. WF(Wire Frame)기능 구조도를 시각화해 서비스를 대략적으로 표현한 디자인의 프로토타입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