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상속관계 매핑대부분의 RDB는 객체와 달리 상속 관계를 지원하지 않는다. 대신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관계라는 모델링 기법이 객체의 상속과 유사하다. 따라서 상속 관계를 매핑하려면, 객체의 상속 구조와 DB의 슈퍼타입 & 서브타입 관계를 매핑해야 한다. 슈퍼타입 & 서브타입 논리 모델링을 실제 물리 모델로 구현하는 방법은 아래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전략을 바꾸려면 코드에 손댈 필요 없이 애노테이션에서 전략만 수정하면 된다. DB 입장에서 어떤 방법으로 구현하더라도 JPA에서 다 매핑할 수 있다.조인 전략 = 각각을 테이블로 변환한다.단일 테이블 전략 = 하나의 통합된 테이블로 변환한다.구현 클래스마다 테이블 전략 = 서브타입을 테이블로 변환한다.애노테이션전략 / 기본값@Inheritance(stra..
mapping
1. 연관관계 매핑 시 고려사항 3가지다중성JPA가 다중성에 맞는 4가지 애노테이션을 제공한다. DB 관점에서의 다중성을 기준으로 고민하면 된다. 헷갈린다면 반대의 상황을 생각해 보자. 예를 들어 회원과 팀의 관계가 헷갈린다면, 팀과 회원의 관계로 다시 생각해 보면 된다. 대칭성이 있기 때문에 반대로 생각해 보면 더 이해하기 쉬워지기도 하기 때문이다.다중성(차수)애노테이션다대일 [N:1]@ManyToOne일대다 [1:N]@OneToMany일대일 [1:1]@OneToOne다대다 [N:M]@ManyToMany 참고'다대다 [N:M]'는 실무에서 쓰면 안 된다. 단방향 & 양방향저번 섹션에서 객체와 테이블의 연관관계를 맺는 방법의 차이에 대해 학습했다.객체참조용 필드가 있는 쪽으로만 참조 가능한쪽만 참조하면 ..
이번 섹션에선 객체와 테이블의 연관관계 차이를 이해한 뒤,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를 매핑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아래에 있는 핵심 용어만 잘 이해해 두면 된다.방향(Direction): 단방향, 양방향다중성(Multiplicity): 다대일(N:1), 일대다(1:N), 일대일(1:1), 다대다(N:M)💫연관관계의 주인(Owner): 객체 양방향 연관관계는 관리 주인이 필요함 1. 연관관계의 필요성객체지향스러운 설계를 이해하기 위해 아래 책(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과 를 참고하면 좋다.객체지향 설계의 목표는자율적인 객체들의 협력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조영호(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아래와 같은 예제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자.1. 회원과 팀이 존재한다.2...
1. 객체와 테이블 매핑@Entity@Entity 애노테이션이 붙은 class는 JPA가 관리하며, 엔티티라고 한다. 따라서 JPA를 사용해서 테이블과 매핑할 class는 해당 애노테이션을 필수로 붙여야 한다. 아래는 JPA 스펙상 꼭 지켜야 할 주의사항이다.기본 생성자(파라미터가 없는 public 또는 protected 생성자)가 필수로 있어야 한다.JPA 리플렉션 등의 기술을 써서 객체를 프록시하는 경우에 필요하기 때문이다.final class, enum, interface, inner class엔 사용할 수 없다.내가 DB에 저장할 필드에 final을 사용하면 안 된다.@Entity(name = "Member") // 기본값 Memberpublic class Member { ...} 속성 정리..
저번 섹션까지 서블릿과 관련한 프로젝트는 마무리됐다. 이후 스프링 MVC를 집중적으로 학습하기 위해 새로운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1. 프로젝트 생성 및 기초 작업이때 뷰 템플릿 엔진으로 JSP 대신 Thymeleaf를 사용하기 때문에 Packaging을 War 대신 Jar로 선택해야 한다.Jar를 사용하면 항상 내장 서버(톰캣 등)를 사용하고, webapp 경로도 사용하지 않는다. 내장 서버 사용에 최적화돼 있는 기능이라,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 사용 시 주로 이 방식을 사용한다.War는 WAS를 별도로 설치하고, 그곳에 빌드된 파일을 넣을 때 사용한다. 물론 내장 서버도 사용 가능하지만, 주로 외부 서버에 배포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Welcome 페이지 만들기스프링 부트에 Jar를 사용하면 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