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객체와 테이블 매핑@Entity@Entity 애노테이션이 붙은 class는 JPA가 관리하며, 엔티티라고 한다. 따라서 JPA를 사용해서 테이블과 매핑할 class는 해당 애노테이션을 필수로 붙여야 한다. 아래는 JPA 스펙상 꼭 지켜야 할 주의사항이다.기본 생성자(파라미터가 없는 public 또는 protected 생성자)가 필수로 있어야 한다.JPA 리플렉션 등의 기술을 써서 객체를 프록시하는 경우에 필요하기 때문이다.final class, enum, interface, inner class엔 사용할 수 없다.내가 DB에 저장할 필드에 final을 사용하면 안 된다.@Entity(name = "Member") // 기본값 Memberpublic class Member { ...} 속성 정리..
RDB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강의는 원래 이번 강의를 듣고 이론을 학습한 뒤 실습을 진행하는 내용이다. 추천 로드맵을 보면 실습 - 이론 - 실습(복습)으로 진행하는 게 더 효율적이라길래 따라하고 있다. 이번 섹션에선 JPA 이론을 학습하기 전, JPA의 필요성과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JPA와 모던 자바 데이터 저장 기술 1. 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SQL에 의존하는 개발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땐 보통 Java나 Scala, C# 같은 객체 지향 언어를 사용하고, Oracle이나 MySQL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에 데이터를 저장한다.객체를 영구 보관하는 저장소는 RDB 말고도 NoSQL, File 등으로 다양하다. 그러나 현실적인 대안으로는 주로 RDB를 사용한다.객체를 RDB에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