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섹션에선 객체와 테이블의 연관관계 차이를 이해한 뒤,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를 매핑하는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 아래에 있는 핵심 용어만 잘 이해해 두면 된다.방향(Direction): 단방향, 양방향다중성(Multiplicity): 다대일(N:1), 일대다(1:N), 일대일(1:1), 다대다(N:M)💫연관관계의 주인(Owner): 객체 양방향 연관관계는 관리 주인이 필요함 1. 연관관계의 필요성객체지향스러운 설계를 이해하기 위해 아래 책(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과 를 참고하면 좋다.객체지향 설계의 목표는자율적인 객체들의 협력 공동체를 만드는 것이다.- 조영호(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 객체의 참조와 테이블의 외래 키아래와 같은 예제 시나리오를 생각해 보자.1. 회원과 팀이 존재한다.2...
table
1. 객체와 테이블 매핑@Entity@Entity 애노테이션이 붙은 class는 JPA가 관리하며, 엔티티라고 한다. 따라서 JPA를 사용해서 테이블과 매핑할 class는 해당 애노테이션을 필수로 붙여야 한다. 아래는 JPA 스펙상 꼭 지켜야 할 주의사항이다.기본 생성자(파라미터가 없는 public 또는 protected 생성자)가 필수로 있어야 한다.JPA 리플렉션 등의 기술을 써서 객체를 프록시하는 경우에 필요하기 때문이다.final class, enum, interface, inner class엔 사용할 수 없다.내가 DB에 저장할 필드에 final을 사용하면 안 된다.@Entity(name = "Member") // 기본값 Memberpublic class Member { ...} 속성 정리..